본문 바로가기
경제

세금 - 국세와 지방세의 종류

by 반어반어 2017. 12. 2.
반응형

세금이란 국가나 지방단체가 나라전체 또는 각 지방 살림에 필요한 경비를 충당하기위해 소득 또는 행위에 대하여 징수하는 돈입니다. 세금은 다양한 경우에 발생합니다. 부동산을 취득하면 취득세, 부동산을 팔면 양도소득세, 상속을 받으면 상속세, 어떤 물건을 구매할때 포함되어 있는 부가가치세 등이 발생합니다. 다양한 세금들은 크게 과세권자에 따라 국세와 지방세로, 과세방법에 따라 직접세와 간접세로 나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과세권자에 따른 국세와 지방세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세금의 종류

세금은 아래와 같이 국세와 지방세로 분류됩니다.

 

국세

(14개)

소득세

소득세법

법인세

법인세법

상속세

상속세 및 증여세법

증여세

종합부동산세

종합부동산세법

부가가치세

부가가치세법

개별소비세

개별소비세법

교통,에너지,환경세

교통,에너지,환경세법

주세

주세법

인지세

인지세법

증권거래세

증권거래세법

교육세

교육세법

농어촌특별세

농어촌특별세법

관세

관세법

지방세

(11개)

취득세

지방세법

등록면허세

레저세

담배소비세

지방소비세

주민세

지방소득세

재산세

자동차세

지역자원시설세

지방교육세

 

세금은 위의 표와같이 국세 14개와 지방세 11개로 총 25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국민들이 위에 있는 모든 세금을 납부하는 것은 아니고 각 세목의 법률에 따라 세금을 내게 됩니다. 예를 들어 근로소득자들이 월급받을때 원천정수되는 소득세는 소득세법에 의해 징수가 되고 지방소득세는 지방세법에 의해 징수됩니다. 부동산 판매시에는 소득세법에 따라 양도차익에 따른 양도소득세를 그리고 지방세법에 따라 양도소득세의 10%만큼 지방소득세를 납부합니다.

 


2. 국세와 지방세의 차이점

국세는 국가가 국가업무를 수행하는 경비를 충당하기 위한 세금으로 징수 주체가 국가이고 지방세는 지방자치단체가 관할구역 내의 업무를 수행하는 경배를 충당하기 위한 세금의 징수 주체가 지방자치단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세금을 내러 갈때는 국세는 세무서에 지방세는 해당 시군구청에 가야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세금의 종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세금은 종류도 많지만 세금마다 납부방법 이나 절차들도 다 다른데요 다양한 종류로 머리가 아프지만 살아가면서 세금은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잘 알아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